[땅콩] 땅콩은 어떤 실시간 통신 방식을 사용할까?
땅콩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실시간 데이터 통신 방식에 대해 고민하고, 기술 결정에 대한 이유를 소개한다.
땅콩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실시간 데이터 통신 방식에 대해 고민하고, 기술 결정에 대한 이유를 소개한다.
tanstack-query 를 활용하여 에러 처리 공통 로직을 분리하고, 이때 생긴 문제 상황과 해결 방법을 공유한다.
클로저를 이해하며, 어떻게 생명주기를 유지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땅콩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IOS 환경에서만 가상 키보드 위로 버튼이 올라오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모듈 시스템을 이해하며, ESM과 CommonJS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